땡땡은 지역 공동체의 내일을 상상하기 위해 연구합니다. 지역을 활성화하는 일이 관 주도의 하향식의 사업에 그치지 않고 주민이 참여하여 함께 그리고 이끄는 내일을 만들기 위한 계획들을 제안해 왔습니다. 이를 위해 주민들의 욕구에 귀를 기울이는 인터뷰 조사부터 지역의 잠재적인 역량들을 발굴하는 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해 왔습니다.
성북구 봉제산업의 새로운 가능성 발견을 위한액션리서치 (2024)
서울 성북구 제조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봉제업은 의류산업의 침체와 함께 오랜 불황을 겪고 있습니다. 한때 우리나라 성장을 주도했던 봉제업 종사자들과 문화의 접점을 찾고 봉제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간담회와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발주처 / 성북문화재단)
시민플랜 연구 (2020)
민간 주도형 도시재생의 길로 가기 위해 도시재생지역이 어떤 길을 걸어왔는지 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해야 할 일을 모색해보았습니다. (발주처 / 서울시)
LH 사업견학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2019)
전국에 펼쳐진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사업지를 시민이 효과적으로 견학하는 방식에 대해 분석하고 제안했습니다. (발주처 / 한국토지주택공사LH)
창동역 일대 활성화 방안 연구 (2018)
서울 도봉구에 위치한 창동역 일대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소외된 지역이 없도록 보완하고 준비하는 방식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발주처 / 도봉구청)
천호지하차도 활용 연구 (2021)
교통 체계 변화로 폐쇄되어 있던 지하차도(천호사거리 지하)를 청년문화활동을 위한 거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세 개 업체 컨소시엄으로 진행한 이 연구에서 땡땡은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땡땡은 지역 청년 주체 발굴과 공간 조성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습니다. (발주처 / 서울시)
중구문화예술기능기반조성을 위한 기초조사 (2019)
서울시 중구에서 활동하는 예술인 50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해, 중구에는 어떤 예술인이 오가며 무슨 활동을 하고 있는지, 중구 문화예술 활동의 지형을 살펴보았습니다. (발주처 / 중구문화재단)
4차 산업혁명시대 50+ 적합기술분야 일활동모델 개발 (2019)
4차산업혁명시대에 맞는 50+세대의 일자리모델은 무엇인지 연구해 실제 인턴십 사업으로 연계될 수 있는 구체적인 사업모델을 구축하고 서울시50플러스재단 사업에 반영했습니다. (발주처 / 50플러스재단)
세운상가 축제포럼 기획 연구 (2016)
세운상가 일대에서 벌어지는 여러 기획 행사들의 현황을 조사하고 지역에 가장 어울리는 축제와 포럼의 형태를 도출해 제안했습니다. (발주처 / 서울시)